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남명을 찾아서

연원가 탐구

문인 4. 정구(鄭逑)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8,799회 작성일 03-10-27 14:34

본문

□ 약전(略傳)



정구(鄭逑, 1543∼1620)의 자는 도가(道可)이고 호는 한강(寒岡)이며, 본관은 청주(淸州)로 성주(星州)에 거주하였다. 시호는 문목(文穆)이다. 그는 1543년(중종 38년) 7월 9일에 사월촌의 집에서 판서공 사중(思中)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는데 그의 세계는 다음과 같다.

문인003.jpg

그가 남긴 문집은 『한강집(寒岡集)』 4권 2책이 전한다.

수학 및 교육 : 정구(鄭逑)는 7세(1549년)에 『논어』와 『대학』을 통달하여 신동이라는 칭찬을 받았으며, 손님 앞에서 자기의 포부와 기상은 요순과 같다는 기상천외의 대답을 하였다. 9세(1551년)에는 부친상을 당하자 성인처럼 집상(執喪)하여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10세(1552년)에는 학문에 뜻을 두고 발분독서(發憤讀書)하여 『대학(大學)』, 『논어(論語)』를 읽고 그 대의(大義)에 통하였다. 정구(鄭逑)는 공자의 화상을 그려서 벽 위에 걸어두고 첨배(瞻拜)할 정도로 일찍부터 지기(志氣)가 뛰어났다. 12세(1554년)에는 『통감(通鑑)』을 읽었는데 스승이 가르쳐 주기를 기다리지 않았다. 13세(1555년)에는 가학으로 공부에 열중하던 그가 성주향교의 교수로 부임한 남명선생의 제자 오건에게서 『주역』을 배우게 되는데, 건괘(乾卦) 이괘(二卦)를 배우고 나머지는 유추(類推)하여 달통(達通)하니 스승 오건이 정구의 뛰어난 자질을 보고 여러 제자들에게 이르기를, 것너희들의 스승이 될 사람은 마땅히 정생(鄭生)겄이라고 하였다.

21세(1563년)에는 퇴계선생을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고, 이 때 정구(鄭逑)는 퇴계선생과 하룻밤을 지내면서 성리학에 대해 질정하고 돌아 왔다. 향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그 후 과거에 응하지 않고 학문에만 열중하였다.

정구(鄭逑)는 선조임금과의 인견에서 선조가 겁네가 고을에 부임해 가면 장차 무엇을 시행할 것인가?겂 하니, 대답하기를, 겁신은 학문이 얕고 재주가 용렬하여 훌륭한 일을 할 수 없을까 두렵사오나 원하는 것은 먼저 학교를 일으키고자 합니다겂라고 하였다. 그러자 선조는 겁네가 이름이 헛되어 『지 않았다겂고 칭찬하였다.

정구(鄭逑)는 부임하자마자, 25가(家)에 글방이 있는 제도를 따라 사방의 경내에 모두 서재(書齋)를 설치하고 훈장(訓長)을 선임하여 일과(日課)로 책을 가르치고 익히게 하였다. 초하루와 보름에는 망궐례(望闕禮)룰 향한 다음 향교(鄕校)에 나아가 알성(謁聖)하고 명륜당(明倫堂)에 앉아 여러 생도들을 데리고 강론하여 하루를 마쳤으며 학사(學舍)가 무너지고 훼손된 것을 보면 즉시 다시 중수(重修)하고 제기(祭器)와 제복(祭服)을 일시에 새로 장만하였다.

급문 : 정구(鄭逑)는 24세(1566년) 봄에 천왕봉(天王峯) 아래 덕산으로 가서 남명선생을 배알하니, 남명선생이 것네가 출처거취(出處去就)를 적의하게 하므로 내 마음을 허(許)하노라. 사대부 군자의 대절은 오직 출처(出處)에 있을 따름이다(『南冥集』, 「編年」 66歲條; 『德川師友淵源錄』, 卷3, 「門人」 鄭逑條)겄라고 하였다. 「남명선생편년」에는



선생께서 산해정에 계셨는데 한강 정구가 와서 달포를 모시면서 의심나는 것을 질문하였는데, 선생께서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고금 인물의 어짊과 어리석음, 세상도덕, 시대의 변화, 옳고 그름, 바름과 삐뚤어짐, 벼슬에 나가는 일과 물러나는 일, 말을 할 때와 묵묵히 있을 때 등 광범위하게 문답을 주고 받았다(『南冥集』, 「編年」 66歲條; 『德川師友淵源錄』, 卷3, 「門人」, 鄭逑條).



고 한다.

1580년(선조 13년) 임금은 정구(鄭逑)를 인견(引見)하고 묻기를, 겁너는 이황과 조식을 스승으로 섬겼는가?겂하니 대답하기를, 겁신은 두 사람의 문하에 출입하여 묻고 의심나는 것을 질문한 것은 있사오나 경전을 잡고 수업하지는 않았습니다겂라고 하였다.

선조(宣祖)가 겁두 사람의 기상과 학문이 어떠한가?겂라고 묻자 그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이황은 덕기(德器)가 혼후(渾厚)하고 실천이 독실하여 공부가 순수하고 익숙하며 학문의 단계가 분명한 반면, 조식은 기국(器局)이 준엄하고 정제(整齊)하며 재기가 호매(豪邁)하여 초연히 스스로 즐기면서 우뚝이 서서 독특하게 행합니다(「행장」).



과거 및 벼슬 : 일찍이 정구(鄭逑)는 향해(鄕解)에 선발되었으나 회시(會試)에 나아가지 않고 드디어 과거를 포기하고 옛 성현이 되기를 기약하였다.

그는 31세(1573년)에 조정에서 재능과 학식이 있는 선비를 추천하라는 명이 있자, 고향 사람인 김우옹(金宇)이 수찬관(修撰官)으로 있으면서 선조에게 주청하였다. 36세(1578년)에는 사포서종부주부(司圃署宗簿主簿), 의흥(義興), 삼가(三嘉)의 현감에 벼슬을 내렸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고, 37세(1579년)에도 지례현감(知禮縣監)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38세(1580년)에는 창녕현감에 제수되어 첫 벼슬길에 나아갔다. 임지로 떠나기 전 임금이 정구(鄭逑)를 보고 것목민관이 되어 무엇을 먼저 해야 되는가겄라고 물었다. 정구는 것옛사람들이 백성 보살피기를 갓난 아이 보살피듯 하라고 하였으니 신은 어리석으나 이 말을 실천하겠습니다겄라고 대답하고 임지로 떠났다.

그 후로도 지례(知禮)·동복현감(同福縣監), 사헌부 지평(持平), 공조·호조정랑, 고부(古阜)·함안 통천(咸安通川)·영월군수(寧越郡守), 강릉(江陵)·홍천 안동부사(洪川安東府使), 승정원 부승지(副承旨)와 우승지(右承旨), 형조참의, 충주(忠州)·해주(海州)·광주목사(光州牧使), 강원(江原)·충청(忠淸)·경상도사(慶尙都事), 형조(刑曹)·공조참판(工曹參判) 등을 차례로 역임한 후 광해군 즉위 초인 1609년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에 발탁되었다.

39세(1581년)에는 창녕의 수령을 지내면서 성여신을 방문하였다(『浮査集』).

41세(1583년)에는 강원도사, 충청도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44세(1586년)에는 함안군수로 부임하여 옛날 좋은 풍속을 되살리고 낡은 행정의 폐단을 고치며 각종 저울들을 통일하여 백성들의 세금을 감해주고 백성들의 억울한 사정이 없도록 시정했다. 겨울에 함안군수로 있으면서 오운과 사직단(社稷壇)을 중수하는 일을 의논하였다(『竹先生文集』).

66세(1608년)에는 광해군이 즉위하여 대사헌(大司憲)을 제수하였다. 그러나 임해군을 죽여서는 안 된다는 상소를 하고 뜻대로 되지 않자 곧 사직하고 말았다. 이어 영창대군 사사, 인목대비 폐비 등에 대하여 불가하다는 상소를 누차 하였으나 광해군은 듣지 않았다. 이런 일로 다시는 조정에 발을 들이지 않고 고향에서 제자들을 양성하며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게 생을 보냈다.

강학 및 교유 : 정구(鄭逑)는 15세(1557년)에 박찬(朴澯), 김우옹(金宇), 송사이, 김면, 이린(李), 이홍량(李弘量), 이승, 이기춘(李起春) 등과 더불어 도를 논하고 강학(講學)하였고(『雪峯實紀』), 17세(1559년)에 당시 남명선생의 문인인 곽율, 김우옹, 배신 등과 더불어 도의로 교유하였다(『禮谷集』).

23세(1565년) 가을에 박찬, 김우옹과 더불어 서로 명리(名理)에 대해 여러날 강론하였다(『雪峯實紀』). 24세(1566년)에는 이정(李楨), 김우옹, 노진, 강익, 정유명, 하항(河沆), 조종도, 이광우 등과 더불어 남명선생을 모시고 단속사에서 산천재로 모였다(『竹閣集』). 26세(1568년) 봄에는 이로가 성주로 찾아왔고(『松巖集』), 27세(1569년)에는 이승을 방문하였고(『晴暉堂實紀』), 문익성, 김우옹 등과 학문을 강마하였다(「玉洞先生年譜」).

37세(1579년) 가을에는 이백유 등 몇 사람과 함께 『근사록』 1책과 남악창수(南嶽唱酬)를 가지고 가야산 유행에 나섰다. 9월에 박찬, 이인개(李仁愷), 김면, 이기춘, 곽준(郭) 등과 더불어 가야산(伽倻山)의 해인사(海印寺)를 유람하고 돌아와 모재(茅齋)에 도착하였다(『雪峯實紀』; 『晴暉堂實紀』). 38세(1580년) 여름에는 창녕으로 이정(李瀞)이 찾아와 예(禮)에 대하여 공부하였다(『茅村集』).

41세(1583년)에는 회연정(檜淵亭)을 지었다. 그 주위에 매화와 대나무를 심고 백매원(百梅園)이라고 하였다. 창평의 회연초당(檜淵草堂)에서 시골의 친구들 및 문도(門徒)들과 더불어 월삭강회계(月朔講會契)라는 모임을 만들어 규약을 정하고 학문에 정진하였다. 이 규약의 일부를 보면 다음과 같다.

규약에 들어온 사람은 각각 삼가 책을 읽고 행실을 닦아야 할 것이니, 비록 학문에 깊고 얕음이 있고 재주에 높고 낮음이 있으나 그 지취(志趣)를 요약하면 반드시 옛날의 훌륭한 사람을 배우는 것이다. 그리하여 반드시 의(義)를 바르게 하고 리(利)를 도모하지 않으며 반드시 도(道)를 밝히고 공(功)을 따지지 않으며, 부귀에 급급하지 않고 빈천에 서글퍼하지 아니하여 거의 유자(儒者)의 기미(氣味)와 절박(節拍)이 있어야 할 것이니, 만일 이렇게 하지 못한다면 이미 우리 무리의 사람이 아니다. 비록 규약 안에 벌칙(罰則)은 없으나 또한 어찌 이러한 것을 모르고 따라 참여하여 우리 규약의 수치가 되게 하겠는가? …… (「행장」).



44세(1586년) 가을에는 이정(李瀞)을 찾아갔다(『茅村集』). 45세(1587년)에는 함안군수로 있으면서 이대기가 도동정사(道洞精舍)에서 최영경을 뵙고, 하수일(河受一)과 더불어 『주례』를 공부하였고(『雪壑先生文集』), 이정(李瀞)으로부터 글을 받았다(『茅村集』). 48세(1590년)에는 이승 및 여러 사우와 더불어 회연(檜淵)에 모여 『근사록』을 공부하였다. 47세(1589년) 여름에는 이승, 이기춘과 더불어 회원(檜原)에서 지냈다(『晴暉堂實紀』).

65세(1606년) 가을에는 덕천으로 성여신을 방문하였고(『浮査集』), 중건한 덕천서원을 참배하러 갔다가 이광우의 죽림정사를 방문하였다(『竹閣集』).

의병활동 : 정구(鄭逑)가 50세(1592년)에 풍천군수로 있을 때, 왜란이 일어났다. 이 때 그는 의병을 일으켜 적을 토벌하고 각 고을에 격문을 띄워 의병들로 하여금 적을 공격하게 하여 왜적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는 대사헌이 되었을 때 정인홍 등으로 인해 임해군의 옥사가 일어나자 삼사가 모두 일어나 처벌할 것을 청하였으나, 사헌부 책임자인 그 자신만이 이에 관련된 모두를 용서하라는 상소를 여러 차례 올린 후 관직에서 물러나 성주로 귀향하였다.

저술 : 정구(鄭逑)는 44세(1586년)에 고을의 어진 선비들과 군지인 『함주지』를 편찬하였고, 만년에 노곡정사(蘆谷精舍)·사양정사(泗陽精舍) 등을 건립하여 유유자적하면서 시문을 즐기던 그는 경학을 비롯하여 산수(算數)·병학(兵學)·의약(醫藥)·예학(禮學)·지리(地理) 등에 능통하여 40여 권의 저서를 남겼으니 『주자서절요강목(朱子書節要綱目)』·『심경발휘(心經發揮)』·『경현속집(景賢續集)』·『고금인물지(古今人物志)』·『의안집방(醫眼集方)』·『관동지(關東志)』·『관의(冠儀)』 등이 그 대표적인 저서이다. 그 중 『심경발휘(心經發揮)』·『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심의제도(深衣制度)』 등의 책이 세상에 행하고 있다.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을 지었는데, 늙어 병이 위독한 지경에 이르러서도 오히려 상고와 교열을 그치지 않았다. 소시(少時)에 오건(吳健)의 소개서를 가지고 퇴계선생을 예안(禮安)으로 찾아 뵈었는데 퇴계선생이 오건에게 답한 편지에 것이 사람은 후대에 견줄 사람이 없을 것이다. 다만 부화(浮華)하고 경솔한 하자가 있을까 우려될 뿐겄이라고 하였는데, 늙어서 항상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노선생(老先生)이 병증(病證)에 대해 따끔하게 경계하신 한 말씀을 종신토록 갈고 닦았으나 제대로 고쳐지지 않았으니, 이로써 사람의 타고난 병통은 변화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겠다.



스승추존 및 서원창건활동 : 정구(鄭逑)는 32세(1574년)에 「한훤당선생연보」 및 「사우록」을 편찬하였고 가을 7월에 덕산으로 가서 박제현을 찾아가 선생의 덕을 보고 기순(器醇)이 깊음을 한탄하면서 이르기를 것박모(朴某)는 충후(忠厚)한 유자(儒者)(「松先生文集」)겄라고 하였다.

46세(1588년)에는 청향당(淸香堂, 李源)선생을 위한 서원이 신안(新安)에 세워졌으며, 신안서원 낙성식 때 당시 함안군수로 있으면서 죽림정사로 이광우를 방문하였다(『竹閣集』).

문인신원과 관련하여 정구(鄭逑)는 71세(1613년)에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영창대군을 구제하려고 다시 상소를 하기도 했으며, 관직에 나서기에 앞서 일찍이 성주 창평산(蒼坪山) 기슭에 세웠던 한강정사(寒岡精舍) 곁에 회연서당(檜淵書堂)을 새로 지어 백매원(百梅園)이라 명명하고 이곳에서 허목, 장현광 등 많은 문인들을 가르치면서 여생을 보냈다.

78세(1620년)에는 사양정사(泗陽精舍) 지경재(持敬齋)에서 세상을 떠났다. 이 때에 이르러 사상(泗上)의 지경재(持敬齋)에서 일생을 마치니, 장례에 참석한 사람이 4백여 명이나 되었다.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 해에 가야산(伽倻山)의 북쪽 산부리가 무너졌으며, 세상을 뜨던 날에는 목가(木稼)의 이변이 있었는데, 사람들이 그가 별세할 징조라고 하였다. 실록의 졸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전 대사헌 정구(鄭逑)가 졸 하였다. 그는 성주(星州) 사람으로 한훤선생(寒暄先生)의 외손이다. 어려서는 덕계(德溪) 오건(吳健)을 스승으로 모셨고, 겸하여 퇴계(退溪)와 남명(南冥)의 문하에 드나들었다. 일찍이 말하기를 것퇴계는 덕우(德宇)가 혼후(渾厚)하며 행실이 독실하고, 남명은 재기(才氣)가 호걸스럽고 고매(高邁)하여 우뚝 서서 홀로 행하는 어른이다겄 하였는데, 그가 마음에 정한 견해가 그러하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았는데, 선묘조(宣廟朝)가 여러 번 불러 들이고서야 등대(登對)하고서 맨 먼저 것근독(謹獨)은 제왕이 다스림을 내는 근본이 된다겄고 진달하니, 선조가 칭송하기를 것그대 이름은 헛되이 『어진 것이 아니로구나겄라고 하였다. 그는 주(州)·군(郡)을 두루 맡았고, 조정에 들어와서는 지평·승지가 되었으며, 강원도 관찰사를 지냈다. 광해군 때에는 불러 들여 대사헌에 제수했는데 임해군(臨海君)의 옥사 때에 상차를 올려 맨 먼저 골육의 은혜를 온전히 할 것을 청하니, 광해군이 아름다움을 훔치고 이름을 산다고 하였다. 이 일로 말미암아 상의 뜻을 거슬러 고향으로 돌아갔다.

계축옥(癸丑獄)이 일어나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유치(幽置)하자, 공이 봉사(封事)를 올렸는데, 『춘추(春秋)』를 인용하기를, 것왕자 영부가 죽자 공자가 쓰기를 것천왕(天王)이 그 아우 영부를 죽이다겄라고 하였는데, 그의 죽음이 애당초 경왕(景王)이 한 것은 아니지만 다만 금지하지 못해서 였습니다. 이에 대해 좌씨(左氏)는 것죄가 왕에게 있다겄 하였고, 곡량자(穀梁子)는 심하다고 하였으며, 두예(杜預)는 것골육을 잔상(殘傷)하였다겄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영창대군이 어리고 몽매하여 아는 것이 없으니, 비단 영부가 알지 못했던 것 정도일 뿐만이 아닙니다. 그런데 조정의 의논이 그치질 않아 반드시 처치하고자 하고 있으니, 또한 경왕이 금하지 못한 것보다 심합니다겄라고 하였다. 봉사의 말이 수천 자나 되었는데, 말의 뜻이 명백하고 절실하여 사람들이 다 그를 위하여 위태롭고 두렵게 여겼다. 그때 공의 아들 장(樟)이 서울에 있었는데, 시의(時議)가 날로 험해지는 것을 보고 헤아릴 수 없는 화를 당할까 두려워하여 마침내 그 상소를 숨기고 올리지 않았다. 그러자 공이 또 상소하였는데 말이 더욱 절실하였으며, 전에 쓴 상소도 아울러 올렸다.

공은 본디 정인홍(鄭仁弘)과 동문수학한 처지로 서로 사이가 좋았었는데, 이 때에 이르러 흉염(兇焰)을 두려워하고 미워하여 그를 피해 거처를 옮겼다. 학자들은 그를 한강선생(寒岡先生)이라고 하였다. 백매원(百梅園)을 돌보면서 행실을 편안하고 곧게 하여 후학들을 지도하는 것으로 일을 삼았다.

『광해군일기』에는 계해반정(癸亥反正) 뒤에 관리를 보내 치제(致祭)하고 이조판서에 추증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정구(鄭逑)의 문인 이윤우(李潤雨)가 등대(登對)하여 시호를 청하자, 마침내 문목공(文穆公)이라는 시호를 내렸던 것(『光海君日記』 12년)이다.

향사 : 정구(鄭逑)는 1620년(광해군 12년)에 78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관직은 대사헌이며 그의 사후 성주의 회연서원과 천곡서원(川谷書院)을 비롯하여 대구의 연경서원(硏經書院), 창원의 회원서원(檜原書院), 성천(成川)의 학령서원(鶴翎書院), 창녕의 관산서원(冠山書院), 충주의 운곡서원(雲谷書院), 옥천의 삼양서원(三陽書院), 현풍의 도동서원(道東書院), 함안의 도림서원(道林書院), 칠곡(漆谷)의 사양서원(泗陽書院), 통천(通川)의 경덕사우(景德祠宇) 등에 제향되었다.



□ 참고자료



『宣祖實錄』 6년∼7년, 11년, 16년, 26년∼31년, 33년∼37년, 39년∼40년.

『宣祖修正實錄』 6년, 11년, 13년∼18년, 24년∼25년, 34년.

『光海君日記』 즉위년∼2년, 5년∼7년, 9년, 11년∼12년.

『仁祖實錄』 1년∼3년, 8년, 20년, 23년.

『孝宗實錄』 8년, 10년.

『顯宗實錄』 15년.

『顯宗改修實錄』 15년.

『德川師友淵源錄』 6권 2책.

鄭 逑, 『寒岡集』, 서울: 景仁文化社, 1979.

───, 『寒岡集』 4권 2책(『韓國文集叢刊』 53), 民族文化推進會, 1990.

鄭範鎬·李佑成, 「寒岡 鄭逑先生의 生涯와 學統著述」, 『淡水』 12, 1983.

權延雄, 「『檜淵及門諸賢錄』小考」, 『韓國의 哲學』 13, 慶北大 退溪硏究所, 1985.

琴鍾友, 「寒岡의 政治思想에 관한 硏究」, 『韓國의 哲學』 13, 慶北大 退溪硏究所, 1985.

金光淳, 「寒岡의 生涯와 文學」, 『韓國의 哲學』 13, 慶北大 退溪硏究所, 1985.

徐首生, 「寒岡 鄭逑의 禮學」, 『韓國의 哲學』 13, 慶北大 退溪硏究所, 1985.

丁淳睦, 「寒岡 鄭逑의 敎學 思想」, 『韓國의 哲學』 13, 慶北大 退溪硏究所, 1985.

崔丞灝, 「寒岡의 持敬論」, 『韓國의 哲學』 13, 慶北大 退溪硏究所, 1985.

金恒洙, 「寒岡 鄭逑의 學問과 『歷代紀年』」, 『韓國學報』 45, 서울大 國史學科, 1986.

崔完基, 「嶺南禮學과 鄭逑·鄭經世」, 『韓國 性理學의 脈』, 느티나무, 1989.

李相弼, 「寒岡의 學問性向과 文學」, 『南冥學硏究』 1, 慶尙大 南冥學硏究所, 1991.

李源杰, 「寒岡 鄭逑의 漢詩 硏究」, 安東大 碩士學位論文, 1991.

裵永煥, 「寒岡 鄭逑의 敎育實踐」,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琴章泰, 「寒岡 鄭逑의 禮學思想」, 『儒學思想硏究』 4·5合集, 儒敎學會, 1992.

李相弼, 「壬亂時 在朝 南冥 門人의 活動-藥圃∇岡·寒岡을 중심으로-」, 『南冥學硏究』 2,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1992.

韓相奎, 「鄭寒岡의 敎育思想」, 『南冥學硏究論叢』 2, 南冥學硏究院, 1992.

高英津, 「17세기 초 禮學의 새로운 흐름-韓百謙과 鄭逑의 禮說을 중심으로-」, 『韓國學報』 68, 1992.

李源杰, 「寒岡 鄭逑의 詩世界」, 『漢文學論文集』 3, 安東漢文學會, 1993.

宋準湜, 「寒岡敎育思想硏究序說」, 『晋州專門大學論文集』 16, 1994.

金慶洙, 「鄭逑의 『咸州志』 硏究」, 1994.

朴英鎬, 「寒岡 鄭逑의 學問精神과 文學觀」, 『東方漢文學』 10, 東方漢文學會, 1994.

宋寯鎬, 「寒岡 鄭逑의 詩文學에 대하여」, 『東方漢文學』 10, 東方漢文學會, 1994.

李完栽, 「寒岡 鄭逑先生의 禮學」, 『東方漢文學』 10, 東方漢文學會, 1994.

韓相奎, 「鄭寒岡의 敎育思想」, 『東方漢文學』 10, 東方漢文學會, 1994.

裵相賢, 「寒岡 鄭逑와 그의 禮學思想」, 『儒學硏究』 3(志山金吉洛博士 華甲記念論文集<下>), 忠南大 儒學硏究所, 1995.

韓相奎, 「鄭寒岡의 敎育思想」, 『南冥學硏究論叢』 3, 南冥學硏究院, 1995.

정순목, 「寒岡 鄭逑」, 『한국인물유학사』 2(조준하외 편), 한길사, 1996.

朴英鎬, 「寒岡의 「遊伽倻山錄」 硏究」, 『南冥學硏究論叢』 5, 南冥學硏究院, 1997.

崔英成, 「寒岡 鄭逑의 學問方法과 儒學史的 位置」, 『南冥學硏究論叢』 5, 南冥學硏究院, 1997.

───, 「鄭寒岡과 李栗谷의 學問的 만남」, 『南冥院報』 7, 南冥學硏究院, 1997.

宋準湜, 「寒岡 鄭逑」, 『南冥院報』 5, 南冥學硏究院, 1997.

裵相賢, 「鄭逑의 인물과 학문사상, 『嶺南學派의 硏究』, 慶北: 慶尙北道, 1998.

全在康, 「『心經發揮』에 나타난 寒岡 心學의 特性 硏究」, 『南冥學硏究論叢』 7, 晋州: 南冥學硏究院出版部, 1999.

宋準湜, 「寒岡 鄭逑의 社會敎育思想」, 『南冥學硏究論叢』 8, 晋州: 南冥學硏究院出版部, 2000.

周月琴, 「寒岡鄭逑哲學思想硏究」, 『南冥學硏究論叢』 9, 晋州: 南冥學硏究院出版部, 20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46건 10 페이지
연원가 탐구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1 문인 관리자 7900 10-27
10 문인 관리자 7758 10-27
9 문인 관리자 7884 10-27
8 문인 관리자 8194 10-27
7 문인 관리자 8323 10-27
6 문인 관리자 8324 10-27
5 문인 관리자 8216 10-27
열람중 문인 관리자 8800 10-27
3 문인 관리자 11299 10-27
2 문인 관리자 8943 10-27
1 문인 관리자 11574 10-27

검색